2009년 4월 2일 목요일

필통 뉴스레터 13호


2009.03.23 [제13호]microTOP10
청소년 자발적 사회문화 활동 지원사업 소식 外

필통에 있는 클럽들에서 여러가지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어요. 아름다운재단과 서울시대안교육센터에서 진행하는 <청소년 자발적 사회문화 활동 지원사업-2009 지구마을 젊은 주민들 프로젝트>가 공모를 시작했네요. 관심있는 청소년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널리 홍보 부탁드립니다.

< /td>
< /tr>
책 5권 이상을 추천하면 문화상품권을 드립니다.
→ 출처:  http://club.filltong.net/event/14207

필통 책읽기3월 23일부터 4월 12일까지 5권 이상을 추천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10분께 문화상품권 1만원권을 보내드립니다.

http://filltong.microtop10.com/37561   이 글에 달린 댓글
청소년 자발적 사회문화 활동 지원사업 <지구마을 젊은 주민들 2009>
→ 출처:  http://club.filltong.net/beautifulearthlings

지구마을 젊은 주민들 2009 클럽 바로 가기

 < /P>

아름다운재단과 서울시대안교육센터는 <청소년 자발적 사회문화 활동 지원사업 - 2009 지구마을 젊은 주민들 프로젝트>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지구마을의 앞날과 이웃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면서, ‘지속가능한 지구마을’을 만들어나가는 데 필요한 해법을 제시하고 실천하는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활동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고자 합니다. 생태주의적 감수성에 기반하여, 평화, 인권, 돌봄, 나눔 등 지구마을의 주민들이 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할 사업을 기획하거나 실행하고자 하는 젊은 주민들의 지원을 바랍니다.

 

지난 두 해 동안 아름다운재단과 더불어 서울시대안교육센터에서는 [지구마을 젊은 주민들] 사업을 진행해왔습니다. 그 목표는 간단합니다. 청소년들이 현재의 우리 시민사회의 한 일원이라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희망과 열정, 책임과 자발성을 가지고 창조적이고 공공적인 사회자산(creative, social commons)을 만들어가는 일을 시도하라는 것입니다. 이때 이 청소년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이 소위 “뜨거운 지구”로 지칭되는 기후변화시대를 살아내는 지혜롭고 유쾌한 상상과 따뜻한 상호돌봄과 배려를 배경으로 진행된다면, 이 [지구마을 젊은 주민들]로 전혀 손색이 없다는 것입니다.

 

80%가 넘는 청소년들이 대학진학을 하는 우리 사회에서, 대학입시를 빼고 청소년들의 현재의 삶과 기대를 어떻게,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두 해의 프로젝트를 통해 매해 15개 팀으로 구성된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연결된 세계의 ‘동시대인’, ‘동시대의 젊은이’들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고,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아이디어를 내고, 의미화 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동료를 만들어 함께 학습하고, 일하고 그것을 발표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그 일이 무엇이든 단순히 입시 “경쟁”의 맥락을 벗어나 젊은 주민의 입장에서 유쾌한 상생의 시도였다고 생각합니다.

 

2009년에는 좀 더 생태적 감수성(ecological sensitivity)에 대한 강조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생태적 감수성은 단순한 ‘친환경’, ‘환경보호’의 차원이 아니라, 삶의 형식에 대한 전반적인 재고찰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여기서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문제가 아니라, 환경에로 연결되는 ‘내’가 가장 문제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나는 누구와 더불어 살 것인가를 전향적으로 다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고, 그 생각은 창조적인 상상, 유쾌한 실험, 행복한 나눔으로 확장되어 갈 것입니다.

http://filltong.microtop10.com/37322   이 글에 달린 댓글
경제인류학 수요 콜로키움: 김성례 선생님 편
→ 출처:  http://club.filltong.net/economicanthropology
우석훈 선생님의 <맑스 30년, 케인즈 30년, 하이에크 30년, 그리고 폴라니 30년?> 그리고 최재천 선생님의 <경제학, 생물학, 그리고 통섭>편이 진행되었습니다. 돌아오는 수요일에는 김성례 선생님이 <마르셀 모스를 다시 읽기: 선물경제>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경제인류학 수요 콜로키움 클럽에 오시면 수업 노트와 자료들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http://filltong.microtop10.com/37323   이 글에 달린 댓글
이화여대 탈경계인문학 : 세계를 뒤흔든 8명의 독일인
→ 출처:  http://club.filltong.net/ewhahumanities/

이화여대 탈경계인문학 연구단과 서울시대안교육센터가 함께 진행하는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세계를 뒤흔든 8인의 독일인>이 시작되었습니다. 필통에 만들어진 클럽에 오시면 수업 내용을 인터넷으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강좌소개: 이 강좌는 대안학교 학생들에게 독일사와 독일 인물들을 중심으로 근대역사와 근대사상의 흐름을 알려주려는 것입니다. 시대적 흐름을 차분히 따라가면서 세계역사와 사상사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의 삶, 그들이 경험했던 사회적 분위기, 그 속에서 그들이 가졌던 문제의식을 다채롭게 풀어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나아가 이런 배움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근대적인 동시에 탈근대적 풍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비판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이 이 기획의 목표입니다.

< /td>
http://filltong.microtop10.com/37324   이 글에 달린 댓글
봄꽃 소식 ^-^
→ 출처:  http://filltong.net

지난 주에 봄비가 내리더니 밤새 꽃망울이 터졌어요.  길가에 있는 개나리와 진달래는 벌써 노랗게, 빨갛게 피었구요, 남쪽에서는 벚꽃 소식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하얗고 화사한 봄꽃을 필통 뉴스레터에서 조금 일찍 만나보세요! 톡톡에서 봄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봐요.

< /td>
http://filltong.microtop10.com/37571   이 글에 달린 댓글
< /tr>
발행자 : 필통
필통filltong.net은 자기주도적 학습이나 소통, 연결, 돌봄을 지원하는 여러 도구들이 있는 인터넷 공간입니다. 이 뉴스레터는 필통에 회원가입하신 분들께 자동으로 발송됩니다.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다소 불편하시겠지만 help@filltong.net으로 메일주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