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2월 31일 월요일

Blue & Rosso

"냉정과 열정 사이"



팀 작업으로 글을 쓰고 있지만, 남녀 작가가 2년에 걸쳐 서로 연재를 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오래된 책이었고, 익숙한 제목이었는데
.
네그로폰테 교수처럼 책을 좋아하지 않아 주변 사람들과

호흡하며, 시기 적절하게 읽지 못한다. 대신 인생의 어느 시점을 생각하며,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을 때부터는 이미 덫에 걸린 듯 책을 접을 없었다
.
츠지 히토나리의 Blue 읽고나서 에쿠니 가오리의 Rosso 읽었다
.



이탈리아에 직접 가보지 않아서, 비가 올 때는 눅눅하고, 해가 반짝나는 건기 때는 얼마나

햇살이 청명하고 좋은지는 와 닿지 않았지만, 일본과 이탈리아를 왔다갔다하는 주인공의
시점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소설을 읽는 내내 사람을 생각했다
.
기억력이 좋지 않은 나머지, 사람의 사진을 보기도 하고, 편지를 읽기도 했다
.
정말 보고 싶었나보다. 아니, 제대로 얘기하면 정말 보고 싶었었다. 보고 싶었던 마음이

깨져버린 나머지 아오이와 쥰세이처럼 서로에게 씻을 없는 상처를 주었는지도 모르겠다.적어도 상처를 기억들이 의도와, 사람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일이었을 때는
더더욱 해결하기 어려운지 모르겠다.



남자인데 아오이의 마음이 이해된다. 하지만 사람이 쉽게 잊혀지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쉽게 허락할 있을 같지도 않다. 아오이가 갖고 있는 보다, 내가 갖고 있는 벽이 훨씬 두꺼울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뒤에서 가면까지 쓰고, 안되면 가면 위에 석고를 발라서라도, 깨트릴 없는 옹졸한 자존심을 지키며, 나를 챙겨야 하는 것인가?

 

 

2007년 12월 14일 금요일

[Analog] "불편한 것이 가장 편한 것이다."

시기 니다. 화기, 넷, PMP 고, 에서 니다(클릭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확인하고, 1년만에 감회를 느낍니다.
1
년에서 2년 우리나라의 IT시스템은 테스트 베드로의 실험장이 된다고들 하는데
,
우리가 활동 했던 시기 보다 딱 1년이 걸리는 것으로 보아 사실 같기도 합니다
.
이들보다 우리가 빠르다고 말하는 것 자체는 전혀 의미가 없지만

조금 더 다른 시도를 하고 있기에 도움 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낼 자신감이

기사를 보고 생기네요..

2006
10월 추석기간에 팀프로젝트 미션으로 썼던 일기를 공개합니다
.



"
불편한 것이 가장 편한 것이다."

10
1일 부터 다음주 일요일까지 전화기를 거의 쓰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전화 때문에 불편하게 하는 경우가 많아서 전화를 잘 안받거나 하는 심술통지죠. 일이 바빠질때,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요물이긴 하지만요.. 한달 간 또는 일주일 간 혼자 여행을 하면 크게 전화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저를 걱정하는 것은 부모님, , 누나 현재의 여친 가까운 친구들 정도겠죠. 저보다 더 저를 걱정해 줘서 감사하긴 하죠.



10
2


집으로 내려가기 전에 핸드폰에 필요한 번호들을 다리어리로 옮겨 적었습니다. 가족들, 친구들, 대학교 선후배, 동기들, 군대 동기 및 선후임들, 학교 동아리, 소모임, 등등을 옮겨 적었더니 큰 포스트 잇으로 6장 정도 나오더군요.^^ 다들 아시겠지만 자신의 핸드폰에 저장은 되어 있으면서 전화를 하지 않는 사이는 의외로 많은 것 같더라구요. 그런 사람들은 옮겨 적으면서 빼거나 지웠습니다. 그리고 의식적으로 추석때 전화한번이라도 하고 싶은 사람들, 나에게 그런 관심을 보여주는 사람들을 옮겨 적었죠. 자신의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정말 내사람이구나하는 생각이 번쩍 들었습니다.



10
4일 수요일 전화기 없어 - 전화기가 없으면 편하다
.

사실 전화하는 건 미국에 있는 여자친구를 제외하고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고향 집 인터넷은 끊어나서 자연스레 인터넷도 되지 않는다. 가족들과의 추석 행사와 친구들과의 친목 술자리에 가고플 뿐이다. 아마도 제대로 인류학 프로젝트를 몸소 진행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집전화를 하면 이상하게 다들 잘 받지 않는다. 자신의 핸드폰에 우리집 번호가 적혀있을리 만무하지만 적어도 어릴때 부터 사겨온 부랄 친구 녀석은 우리집 뒷번호인 6700을 알아보고 금새 전화한다. 하지만 다른 이들은 안부차 집전화로 전화했는데 받지 않고 "누구세요??"로 다시 전화를 걸어온다. 그만큼 핸드폰은 나를 대신하는 듯 하다. 핸드폰 번호가 곧 나인것이다. 핸드폰은 수단임을 벗어나서 내 행세를 하고 있는 것 같다. 또 하나 신기한 점은 내가 전화를 안쓴다고 하면 화를 내는 친구들도 있다. 왜 화를 낼까?? 이해할 수 없다. 그리고 약속에 나가기 전 대충 전화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몇시에 어디서 만나자고 약속을 신중히 하고, 나 스스로도 늦지 않으려고 미리 나가게 되는 좋은 점이 있다
.



10
6일 금요일(추석)  - 민족 대이동의 틈에 끼어


서울 생활은 이미 오래 했지만, 민족 대이동의 고통은 처음으로 맛 보았다. 7시간 동안 차를 탄것은 고통중에 고통이었다. ~~ 형이 운전하느라 고생해서 미안했다. 집에 내려갈 때 내가 운전해서 생색낸게 그래도 다행이었다. 안그랬음 이 시간에 내가 운전하고 있을 생각하니 무릎이 다시 아파오는 듯 했다. 다음 명절이 심히 걱정되긴 한다. 고향을 옮겨다 이쪽에다 가져다 놓고 싶은 심정이다. 많은 시간을 들여서 갔던만큼 정신없이 즐거웠던 시간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아쉽기도 하다.



일기는 거의 초딩 수준이었지만 어쨌든 핸드폰을 내가 사용 안하는것에 대한 다양한 패턴돠 사람들의 시선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핸드폰을 사용하는 아주 단순한 행동을 통해서 나 스스로 신중해지고, 새로운 점을 많이 깨닫게 되었다. 원래 전화하면 전화도 잘 안받는 나지만, 스스로 더 생활에 신중을 가하고 전화번호에 내가 묻히지 않게끔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07년 12월 3일 월요일

12월 3일 - 조한과 어중간한 88만원 세대

12 3일 지식정보 사회 수업의 한장면을 옮겨 넣는다.
조한은 우리조의 발표를 듣고, 신중히 이야기 하기 시작한다

제대로된 질문들인가?
여러분이 하는 질문들이 제대로 보고 하는 질문인가?

전체적인 질문인 무엇인가?

구글은 한국에 맞는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

한국에서만 적용되는 무엇인가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
그러인해 얻은 Finding이 활용이 되는가?

구글이 한국에서 서비스를 성공할 수 있으려면 어떤 점을 도울 수 있는가?
적대적으로는 안된다. 생산적 비판을 할 수없다. 비판의 자격도 없다. 뭔가를 찾아보려는
태도를 가질때 뭔가 만들어진다.
잘해볼려면 이런식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태도가 필요함. 우리가 고쳐야 함.

조한이 한판 싸움을 붙이기 시작함. 88만원 세대 공격 시작

구글이 원하는 것은 네이버가 열길 바람. 네이버는 아직 그럴 생각이 없음.
합병을 해서 잘 가는 방법도 있을 듯 사들일 생각이 없을 듯
좋다고 생각하면 살텐데, 안산다는 것. 그런 차원에서 생각을 해야함.

그런 방식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느냐는 것인가?
그들은 한번에 모두 잘릴 수 있지 않은가?

네이버는 내부적으로 Labor이라고 한다. 노동력을 통한 검색엔진
글로벌한 시각을 가지고

네이버의 인터페이스에 길들여짐.
네이버는 진화된 형태가 아님. 수동적으로 힘들게 만들어 놓은 독특한 검색 엔진인가?

게임...학습방식의 변화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하지 않은가? 학습에 대한 정의,지식에 대한 정의
를 시대적으로 정확히 한 상태에서 이해를 해야함.

비디오, 플래쉬,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는 방법과 지식의 조화를 꿰할 수 있지 않을까.

텍스트로도 정리가 잘 되지 않는 이곳에서 길이 참으로 멀긴 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