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공지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공지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2월 25일 수요일

공지영씨 강연_090225

[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를 최근 출간하신 공지영씨_090225

문화생산자 프로젝트 첫째날 강연



완전 리얼질문
막장 강연

공지영선생님께 작가가 되는 실질적인 방법, 출판사랑 연결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책을 무지무지무지 많이 읽어야 한다. 소설, 활자로 된것을 갖고 논다. 어쩜 그럼 표현을 하니, 언어를 드리블 처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언어를 잘 다룬 작가의 책을 엄청 읽는다.


액션 : 원래 소설가 할 생각이 없었다.

직장인이에요가 서러웠음. 도서 대출증이 없는게 서러움..
연대 도서관에 들어갈 수 없어짐. 더 이상 읽을 수 없어짐. 힘들고 서러웠음. 대학원에 가도 목표를 가지고 살아야 하고, 실용적인 삶을 살아야 하기 때문에 나중까지 소용이 되지 않는 독서 시간은 여러분에게 없습니다.
자신의 책은 대출되어 있어서 못 읽는다.ㅋㅋㅋ

결사적으로 문화상 공고를 살피는 대학시절,, 영남대가 국립대학교라 비싸다. 공고를 찢어버림.

ㅋㅋㅋ 독해….

 

20대에 하고 싶었는데 못했던 것들?

1.    코피 터지게 연애를 해라. 30대부터는 따질것도 많아지고, 골치가 아프다. (feel,)만 오면 연애할 수 있다. 20대 외에는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자아의 확장. 청춘은 짝짓기의 시기. 취직 이후에 할 수는 없다. (나는 잘 하고 있어요)

2.    대학 도서관에 있는 책들을 모두 읽어봐라. 도전해봐라. 80년대 대부분이 한곳으로 치우치는 독서를 했었음. 니체, 쇼펜하우어가 하는 책들을 읽은적이 없음. 반쪽 교양을 가진 사람. 유명한 문고판을 가져다 놓고, 순서대로 읽는다. (생각만 해도 머리가 아파요)

3.    혼자서 여행 떠나보기. (넘 많이 해봤어요) 여행이 주는 성숙, 고독을 만끽하는 시기가 많지 않다.

 

작가가 되는 최고의 방법은 돈을 번다.

 

결국 돈이 많아야 소설을 쓴다고 답하는건 아니다. 이 세상을 움직이는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돈이다. 데뷔는 35이후에 해도 된다. 세상을 관찰하면서 책을 읽고 있으면 이걸로 소설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산이나 고시원으로 간다. 그 이전에 준비를 하면, 사람 몸만 망가지고, 자원낭비, 식구들 피해준다.

35살까지 돈벌고 관찰하고, 책을 열심히 읽었는데 휠이 안 오면 어떻합니까?

 

이세상 모든 사람이 다 예술가가 될 수 없다.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도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는 눈도 없다. 예술적 재능이 있는지 친구나 선생님에게 직접적으로 물어본다. 때리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잠시 대학원에 갔을 때, 후배에게 너 솔직히 내가 공부에 적성이 있는사람 같아? 없어라고 이야기 하는 후배에게 술을 사라고 했다. 근데 감사하다. 고맙다. ㅋㅋㅋ (그 후배가 공지영 작가를 만든거 아닌가?)

 

잘 기다리다가 우석훈 샘이나, 공지영씨에게 알려주면 알선해준다.

 

글쓰기는 상처 치유의 방법이 될 수 있다.(pass)

 

성폭력을 당한, 상처받은 상황에 대해서 그 장면을 찍은 장면을 보는 것은 fact그 자체인데, 글을 써야 하는 과정에서는 뇌의 어느 공간을 거치게 된다. 이성적 판단. 내가 그리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확실함을 가지게 된다. 회상, 객관화, 치유, 반성(상처를 주어서 잘못을 했다.)

 

자서전을 쓸 때도 모두 사실이 아니다. 자서전을 써도 거짓말을 하게 된다. 그러나 모든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게된다.

 

자기 자신이 하찮아 보일 때, 자기 존중감을 높이는 방법은?

 

본인 예쁘다는 얘기를 많이 했음. 사람은 누구나 하찮다. 모두 하찮기 때문에 모두 소중하다.

 

매일매일 정해진 분량의 글을 쓰시나요?

절대 아님

 

위로의 달인? 아닌가?

http://blog.naver.com/teamate/130039921910

[괜찮다 괜찮다 괜찮다.](책읽기 밑줄 클릭)

위로를 펼쳐주면 된다.

 

쓰셨던 소설중에 가장 애착이 되는 것은?

엄마가 우리 셋중에 누가 예뻐랑 똑같다.

마지막 책이 가장 예쁘다 바람둥이와 비슷하다.

 

안티팬들에 대한 의견?

작가중에 가장 많다. 미모 때문에 그렇다고 술이나 먹자고 하자. 내일모레 50, 23년 소설을 썼음. 선생님들 더 젊었을 때, 소설 쓸 때 얘기한적은 없었는데, 성차별이 있다는 사실을 느낀다. 기사가 나갈때도, 많이 느낀다. 더 싸워줘야 후배 작가들이 그런 대우를 받지 않을텐데, 너무 싸워서 지쳐 있다. 미모가 책을 잘 파는 비결이다. 이제는 아니다. 그것을 논한다는 것. 언제 없어질까? 궁금해 하는듯

 

돈이 없었다.

가난했던 시절, 돈이 없었던 시절이 길었고,

 

공지영씨를 좋아하는 친구를 위해 책을 사러 가야지..

 

사형수,, 죽음에 대한,,

문화라면 죽음이 아니라 살리는 문화창조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영화 우행시 흥행 이후 경제적 변화는?

책이 많이 팔려서, 막내도 대학교를 보낼 수 있습니다.

10만원 이하 안주는 이해해준다.

 

 

김어준[건투를 빈다]

함께 밑줄긋기 바로가기

http://books.filltong.net/isbn/8984313173

2009년 2월 18일 수요일

Cultural Animator - 예비 대학생을 위한 문화생산자 프로젝트

공지영씨와 연상호, 황윤감독이 조금 땡긴다.
황윤감독의 지원자들은 내 글도 퍼가지 않았나,,,ㅋㅋㅋ

새내기들 선배들따라 술마시는 것보다 가보면 좋을듯 한 캠프~~

8번째 뉴스레터 '필통에서 먼저 놀아본 언니와' '항해를 떠나는 밤섬해적단'

2009.02.16 [제8호]microTOP10
'필통에서 먼저 놀아본 언니와' '항해를 떠나는 밤섬해적단'

필통에 있는 <밤섬해적단>이라는 모임에서 "예비대학생을 위한 문화생산자 캠프"를 준비했습니다. 이 세미나 모임의 리더(?)였던 우석훈 박사님이 마지막 과제를 내며 톡톡에 이런 말을 남기셨어요. "밤섬 해적단, 연습항해는 끝난다. 원거리 항해는 혼자 할 수 없다는 것을 배웠으면 좋겠다. 아무리 부자라도, 초호화 요트라도, 원거리 항해는 혼자 못한다." 자, 여러분은 항해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나요?


"창조의 일상", 예비대학생을 위한 문화생산자 캠프

→ 출처:  http://club.filltong.net/culturalanimators

필통에 있던 '밤섬해적단'이란 클럽은 방학중 세미나를 하기 위한 모임이었습니다. 우석훈 박사님과 함께 <토템과 터부>도 읽고, 쪽글도 쓰고, 팀 프로젝트도 하던 이들은 방학이 끝날 즈음하여 그간 사람과 책과 경험으로부터 쌓아온 내공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2월 25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예비대학생을 위한 문화생산자 캠프'가 바로 그것입니다.

캠프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그 답은 바로 자신이 속해있는 문화를 새롭게 만들며 살아가는 사람들, 즉 "문화생산자(cultural animator)"이다. 예비대학생은 이제 막 입시 지옥에서 벗어나 누구보다 여유롭고 자신만만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잠재력을 가진 존재이며, 졸업과 입학 사이의 여유로운 시간은 문화생산에 대한 관심사를 확장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이다. 대학 입학 후,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대학생활을 통해 '청년 실업' 문제를 직ㆍ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위축되지 않는 가능성과 자신감을 가지는 것은 절실하다.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하나의 길을 열었거나, 새로운 문화 판을 일구어낸 숙련된 문화생산자들의 경험을 듣고, 또래들과 직접 문화생산을 경험해보는 것은 큰 힘이 될 것이다.

예비대학생을 위한 문화생산자 캠프 

ㅁ 주최/주관: 오마이뉴스,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ㅁ  기획/진행: 20대 액티비스트 그룹 "밤섬해적단" 
ㅁ 후원: 온라인 학습 생태계 “필통” , 하자센터, 스카이에듀, 노리단 
ㅁ 일정: 2009.02.25(수)-27(금)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진행 
ㅁ 장소: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25, 26일), 영등포 하자센터(27일) 
ㅁ 수강생: 예비대학생 80명

※ 수강 상담 문의 : 정미소(jms85@ohmynews.com/02-733-5505, 내선111번)

이 캠프를 통해서 예비대학생들은

ㅁ 문화생산자들의 강연을 듣고, 문화생산자로써의 새로운 삶을 상상해 봅니다. 
ㅁ 문화생산 워크숍을 통해 창작해보는 경험을 해보고 새로운 자신을 발견합니다.  
ㅁ 친구들과 함께 팀별 워크숍을 참여하면서 여러 사람들과 일하는 것을 배워봅니다.  
ㅁ 대학생활의 선배 격인 캠프 기획단과의 지속적인 연결망을 통해 캠프 이후의 활동을 구상해봅니다.

※ 신청 후, http://club.filltong.net/culturalanimators 에서 참가신청서를 다운받아서 클럽에 제출해주세요.  (문의:서명선 팀장, 010-6811-6807)
 
http://filltong.microtop10.com/32452   이 글에 달린 댓글

PINY 캠프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 출처:  http://club.filltong.net/piny

제 2회 PINY 캠프가 착착 준비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 캠프 스탭 워크숍이 있었어요. 1회 캠프 참가자들 중에서 2회 캠프 스탭으로 참여하는 10대들도 있습니다. 모든 스탭이 모여 함께 스퀵을 배웠어요. 잘 아는 사람도 있지만, 스퀵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이번에 처음 접하는 분들도 있어요. 스탭 서로가 서로에게 '무지한 스승'이 되어서 배움의 과정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워크숍이었습니다.

스탭들이 스퀵으로 만든 게임들은 바로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스퀵을 실행시키려면 스퀵 프로그램을 깔아야 합니다. 스퀵 프로그램은 Korean Squeakers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스탭 모임 동영상] 어떤 사람들이 캠프 스탭으로 참여하는지 확인하실래요?

PINY 캠프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캠프 게시판에 참가자들이 올리는 10문 10답이 착착 올라오고 있어요. 아직 참가 신청을 못하신 분들은 바로 여기서 참가신청서를 작성하세요.

 

▷ 캠프 참가 신청하기

덧. '무지한 스승'이란 자크 랑시에르의 책 제목인데요, 민들레 61호에 실린 소개에 따르면 "'무지한 스승'은 어떤 앎도 전달하지 않으면서 다른 이의 앎의 원인이 되는 스승을 말한다."고 합니다.

http://filltong.microtop10.com/32459   이 글에 달린 댓글

필통에서 먼저 놀아본 언니, 풍뎅이

→ 출처:  http://club.filltong.net/abc

'필통 초보자 클럽'이라는 것이 생겼어요. 문자 그대로 필통에서 먼저 놀아본 언니 '풍뎅이'님이 만드신 "필통에 처음 와서 어떻게 시작해야하는지 헤메는 사람들이 모이는곳"이래요. 필통이 어색하고, 낯선 분들은 풍뎅이의 가이드를 따라가보면 어떨까요?

http://filltong.microtop10.com/32460   이 글에 달린 댓글

필통으로 친구를 쉽게 초대할 수 있어요

→ 출처:  http://club.filltong.net/seed/11811

필통에 '친구 초대' 기능이 생겼습니다. 로그인 후 내 페이지를 보면 친구를 초대할 수 있는 주소가 있어요. 이것을 복사해서 친구들에게 메일이나 메신저로 알려주세요. 그리고 2월 19일(목)까지 친구 초대 이벤트가 진행중입니다. 친한 친구들과 함께 필통을 더 재미있게 사용해보세요.

친구 초대 방법:

내 아이디가 woonjjjang이라면 http://filltong.net/woonjjjang/welcome 이란 주소를
친구들에게 메일이나 메신저로 전달하기만 하면 됩니다.
이 링크로 들어온 친구들은 자동으로 친구초대 기록이 남습니다.
대신 그 친구가 깜빡하고 회원가입을 안하면 안되니까,
친한 친구가 끝까지 필통에 잘 들어와 여러분에게 친구신청을 했는지 살펴보세요.

ㅁ 방법 : 자신의 초대 주소를 통해서 친구를 초대한다.
ㅁ 일시 : 2월 13일 ~ 2월 19일까지
ㅁ 당첨자 추첨 : 2월 25일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친구 초대 및 친구 맺기 기능 소개

http://filltong.microtop10.com/32461   이 글에 달린 댓글
발행자 : 필통
필통filltong.net은 즐거운 학습도구들이 있는 10대를 위한 인터넷 공간입니다.